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생명공학과-캡사이신(고추의 매운 성분) 비만억제 효과 분자수준에서 규명 2010.06.09

등록일 2016-06-01 작성자 교육지원조교 조회수 2992

캡사이신(고추의 매운 성분) 비만억제 효과 분자수준에서 규명
- 대구대 생명공학과 석사과정 두 학생(주정인, 김동현), 두 편의 해외 저명학술지에 연구결과 발표
- 단백질체 분야 3대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Proteome Research지 6월호에 news article로 선정, Proteomics지 온라인판에 발표 (7월호에 정식 게재예정)

 

대구대학교(총장 홍덕률) 생명공학과 석사과정 학생들이 동물실험을 통해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이 지방축적을 크게 줄이는 동시에 지방연소를 촉진하여 체중을 줄이는 효과가 입증되었다는 결과를 해외 저명 학술지에 두 편의 연구논문으로 발표하였다.

 

이들의 결과에 따르면, 캡사이신을 투여할 경우, 지방조직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들의 활성이 크게 억제되었을 뿐 아니라 지방연소에 관여하는 단백질 생성이 크게 촉진되어 2주간의 실험기간동안 약 8%의 체중감량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캡사이신 투여 전후의 실험동물의 지방조직 및 근육조직의 전체단백질(프로테옴)을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난 것인데, 캡사이신을 투여할 경우, 백색지방조직에서 특이하게 UCP1 등을 포함하여 지방합성을 방해하는 동시에 지방연소를 촉진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은 5종의 새로운 단백질들이 관여한다는 사실도 함께 규명하였다.

 

이 결과는 단백질체학 분야에서 3대 학술지로 인정받는 두 해외학술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는데, 특히 Journal of Proteome Research지 6월호에 발표된 지방조직의 단백체 분석결과는 news article로 선정되어 해외언론에도 보도되었으며, 근육조직의 단백체 분석결과는 Proteomics지 온라인판에 발표 (7월호에 정식게재 예정) 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지원사업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유전체연구센터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이 논문을 지도한 윤종원 교수는 “석사과정 학생이 획득한 결과로는 대단한 성과이며, 이 논문을 발표한 후 현재 다른 동물실험을 통해 비만억제 단백질을 다수 발견하여 최고수준의 해외학술지에 두 편의 논문을 다시 투고하였을 정도로 두 학생의 연구에 대한 열정은 대단하다” 고 말했다.

 

[용어해설]

캡사이신 (capsaicin): 고추의 매운 성분으로서 지금까지 항암효과는 잘 알려져 있었으나 비만억제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는 이 논문이 최초임.

 

단백질체 (프로테옴, proteome): 유전체 (지놈, genome)이 특정 생명체의 전체 유전자를 의미하는 것과 유사하게, 특정 생명체를 구성하는 전체단백질을 말하는 것으로 어떤 질병이 발생하면 지놈과 함께 단백질체가 다양하게 변하게 되므로 단백질체 연구는 최신 생명공학 분야의 하나가 되었음.

 

UCP1 (uncouplong protein 1): 포유동물의 지방조직은 백색지방조직 (white adipocyte tissue) 과 갈색지방조직 (brown adipocyte tissue)가 있는데, 백색지방은 체내에서 남아도는 지방이 축적되는 조직이며 갈색지방조직은 에너지대사를 담당하는 지방조직임. UCP1은 주로 갈색지방조직에서 지방을 열에너지로 방출하게 하여 지방을 연소하는 역할을 담당함. 캡사이신이 투여되면 갈색지방 뿐 아니라 백색지방조직에서도 UCP1의 생성이 증가하어 지방연소가 촉진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됨. 캡사이신이 투여되면 UCP1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UCP2, UCP3 단백질의 양도 동시에 증가하게 됨.

 

단백질체 분야의 세계 3대 학술지: ①Molecular and Cellular proteomics (인용지수 8.834), ② Journal of Proteome Research (인용지수 5.684)  ③ Proteomics (인용지수 4.586).